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잘 몰라서 활용하지 않으시거나 오해로 인해 사용하지 않으시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는 포스팅입니다. 물론, 알고 계시는 분들께서도 계시겠지만 생각보다 예상외로 모르는 분들이 자세히 모르는 분들이 상당히 많이 계신다는 것을 알고 포스팅 주제로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필자가 오늘 언급하는 제품은 제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에 설치된 제품을 예시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회사명은 과거 구펜 -> 현재 그렉스로 회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사실 전기세에 대한 부담으로 사용하지 못하시겠다 하시는 분들께는 이런말을 전해드리고 싶어요. 본 환기시스템은 선풍기 사용하는 정도의 전기세가 소비될 뿐 사실 부담이 적으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시 환기시스템 배관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니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오히려 제품에 대해 고장 및 정상적인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니 부담 없이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또한 비용적인 부담이라고 하면 필터교체비용일텐데요. 필터교체비용은 약 1000시간 누적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계기반에 필터라고 경고등이 깜빡깜빡 거립니다. 그러면 그때 교체해주시면 되는데 보통 하루 사용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3개월에서 6개월 가량 사용이 가능합니다. 정품은 2개에 55,000원에서 '그렉스몰'에서 판매중이지만 조금만 더 인터넷을 활용하여 검색해보시면 카피 제품을 좀 더 저렴하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사실 공기청정기 보다 더 월등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게 이 기본적으로 공동주택에 의무적으로 설치된 환기시스템일 겁니다. 이건 분명하고 확실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너무나 많은 분들께서 간과하고 계시고 잘 모르신다는 겁니다.
공기청정기는 실내에 먼저를 제거할 뿐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지 못하고 산소가 충분한 외부 공기를 실내로 들여오지 못합니다.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시더라도 반드시 하루에 30분정도씩 3회의 환기가 필요합니다. (건강을 위해서)
제가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는 34평 아파트입니다. 방이 3개에 화장실이 2개인 구조이며 추가적으로 주방 펜트리와 알파룸이 있습니다. 그렉스 회사 제품의 특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중소기업이지만 그래도 제품을 제법 잘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아파트 구조를 설명 드린 것은 아래에 내용에 포함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설명을 드렸습니다.)
보통 실외기실 천장에 보면 환기시스템 메인장치가 설치가 되어 있으십니다. 한쪽 배관은 산소가 풍부한 외부공기는 유입하는 급기배관이며 다른한쪽은 배기배관으로 연동이 되어 있습니다. 이는 제품과 아파트 마다 상이 할 수 있으니 단순 참고만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거실에 급기디퓨저(신선한 공기가 유입이 되는)가 천장에 2개 설치되어 있고 각방마다 급기디퓨저가 각각 1개씩 그리고 알파룸쪽에 1개씩 해서 설치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부부욕실과 공용욕실 출입문 천정부 앞에 배기 디퓨터 (오염된 실내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가 각각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배기 디퓨저의 영역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욕실환기팬과 연동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환기장치를 작동시킬때에는 전체 방문을 열고 욕실문까지 열고 작동을 시키시는게 설치되어 있는 환기시스템을 200% 활용하시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아시겠죠?
환기장치는 바닥급기시스템, 환기시스템, 전열교환기 라는 이름으로 각각 불리고 있지만 결국엔 다 같은 이름입니다. 이 점 참고하셔서 혼란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파트에 설치된 환기시스템은 설치가 법적으로 의무설치대상이고 급기 배관이 바닥 열을 이용해 한번 걸러져 (데워져) 들어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그냥 창을 열고 바로 바깥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대비해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활용해 보시면 참 좋은 장치, 시스템이라는 것을 알게되실 겁니다.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세사업자 사업자현황신고는? (18) | 2020.02.06 |
---|---|
회사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4) | 2020.02.05 |
유토렌트 설치 및 사용방법 (23) | 2020.01.23 |
알캡처 설치 및 사용방법 (29) | 2020.01.22 |
USB 포맷방식과 종류 (18) | 2020.01.20 |